프로젝트 진행할 때 중복되는 코드가 많아서 '어떻게 하면 코드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을까?'란 생각이 들어 구글링 도중 Jitpack을 알게 되었고 직접 만든 라이브러리를 어떻게 Jitpack을 사용하는지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이번 포스팅에 저의 경험과 노하우를 담아보겠습니다.
먼저 배포할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
간단하게 gradle 프로젝트로 화폐 세번째 자에 콤마를 찍어주는 메소드를 만들었습니다.
그 다음 jitpack default 자바 버전이 1.8버전이기에 jitpack.yml 파일을 만들어 17버전이라고 정의했습니다.
jdk:
- openjdk17
그 다음 깃허브에 repository를 만들고 push합니다.
빨간 네모칸에 releases가 보이는데 release를 만들어 줍니다.
릴리즈 태그를 쓰고 제목과 내용을 써줍니다.
여기까지 완료되면 https://jitpack.io 사이트를 갑니다.
여기 보면 깃허브 리포지토리 주소를 검색해보면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 처음 화면은 log에 보이는 아이콘이 안보이고 get it버튼을 눌러야 log에 아이콘이 생깁니다.
이때 빌드에러가 나온다면 빨간색으로 나올 거고 빌드에 문제없다면 초록색으로 나올 겁니다.
초록색으로 나왔다면 이제 제대로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jitpack 홈페이지에서 build.gradle에 위 사진처럼 추가해서 쓰라고 하는데 dependecyResolutionManagement를 찾을 수 없다고 하며 빌드가 안되는데
그냥 maven { url 'https://jitpack.io' }만 추가하니 됐습니다.
이게 왜 되는지 아무리 찾아봐도 모르겠어서 혹시 아시는 분은 댓글달아주세요ㅠㅠ
dependecies에
implementation 'com.github.tlawltjr:util:1.2'
이렇게 추가합니다.
이때
implementation 'com.github.tlawltjr:util:Tag'
그냥 Tag쓰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빌드를 해보면
이렇게 라이브러리가 추가된걸 볼 수 있습니다.
jitpack 에 관련된 글을 엄청 많이 봤었는데 역시나 남들이 하던 그대로 하면 안되는걸 다시 한번 깨달았고
누군가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New Ski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Spring Boot Jar 파일 Docker로 배포하기 - Image, Docker File (1) (0) | 2023.11.08 |
---|---|
[Docker] Docker 사용해보기 (0) | 2023.11.02 |
[ASP.NET] EF Core + MySQL 연결하기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