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E. F. Codd)가 수학의 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했다.
-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니며, 원하는 정보를 정의할 때 계산 수식을 사용한다.
- 튜플 해석식을 사용하는 튜플 ( )과 도메인 해석식을 사용하는 도메인 ( )으로 구분된다.
답 : 관계해석
*더보기
관계대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 수 있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
이는 DBMS 내부의 처리 언어로 사용된다.
- 암호화 알고리즘은 패스워드, 주민번호, 은행계좌와 같은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평문을 암호화된 문장으로 만드는 절차 또는 방법을 의미한다.
- 스위스의 라이와 메시는 1990년 PES를 발표하고, 이후 이를 개선한 IPES를 발표하였다. IPES는 128비트의 Key를 64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이며 현재는 ( 1 )라고 불린다.
- ( 2 )은 국가 안전 보장국(NSA)에서 개발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클리퍼 칩(Clipper Chip)이라는 IC 칩에 내장되어있다. 80비트의 Key를 사용하여 64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며, 주로 전화기와 같은 음성 통신 장비에 삽입되어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답 : (1) IDEA (2) Skipiack
*더보기
암호 알고리즘 방식
방식 | 이름 | 설명 |
대칭 | DES | 1975년 IBM 개발 /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 64Bit |
SEED | 1999년 한국인터넷진흥원 개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 128Bit | |
AES |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 / DES 문제 극복 / 라운드 수 분류 | |
비대칭 | RSA | 소인수 분해 기반 /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
해시 | MD5 | MD4를 개선한 알고리즘 / 512Bit 입력에 대해 128Bit 해시값 생성 |
SHA-1 | 1993년 NSA 미 정부 표준 / 160Bit 해시값 생성 | |
데이터 암호화 전송 | IPSec | IP계층에서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하는 인증 헤더와 기밀성을 보장하는 암호화를 이용한 IP 보안 프로토콜 |
SSL/TLS | Transport 계층과 Presentation 계층 사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보안 프로토콜 | |
S-HTTP | 웹 상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하는 방법. 모든 메시지를 각각 암호화하여 전송 |
다음 <제품>(제품명, 단가, 제조사) 테이블을 대상으로 "H" 제조사에서 생산한 제품들의 '단가'보다 높은 '단가'를 가진 제품의 정보를 조회하는 SQL문이다. 괄호에 알맞은 답을 적으시오
SELECT 제품명, 단가, 제조사
FROM 제품
WHERE 단가 > ( ) (SELECT 단가 FROM 제품 WHERE 제조사 = 'H');
답 : ALL
-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
- 수정한 모듈이나 컴포넌트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오류가 생기지 않았는지 테스트하여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해 반복 테스트한다.
답 : Regression
*더보기
Whitebox Test
- 구문(문장) 커버리지 : 모든 명령문을 적어도 한번은 수행
- 결정(선택, 분기) 커버리지 : 결정 포인트 내의 전체 조건식이 적어도 한번은 참과 거짓의 결과를 수행
- 조건 커버리지 : 결정 포인트 내의 개별 조건식이 적어도 한번은 참과 거짓의 결과가 되도록 수행
- 조건/결정 커버리지 : 전체 조건식뿐만 아니라 개별 조건식도 참 한번 , 거짓 한번 결과가 되도록 수행
Blackbox Test
- 동치 분할 검사 :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그룹핑하여 대푯값 테스트
- 경계값 분석 검사
테스트 목적에 따른 분류
- 회복 테스트 : 시스템의 정상적 복귀 여부를 테스트
- 안전 테스트 : 불법적인 SW가 시스템을 파괴하지 못하도록 결함을 미리 점검
- 성능 테스트 : 응답 시간, 특정 시간 내 업무 처리량, 반응 속도 등을 측정
- 구조 테스트 : 시스템의 내부 논리 경로, 소스 코드의 복잡도를 평가
- 회귀 테스트 : 수정한 시스템에서 새롭게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반복 테스트 기법
- 병행 테스트 : 변경된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에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 후 결과를 비교
정적 테스트
- 동료 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며 결함을 발견
- 인스펙션 : 다른 전문가 또는 팀이 검사하여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 찾기
- 워크스루 : 검토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 검토한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를 진
a = "REMEMBER NOVEMBER"
b = a[0:3] + a[12:16]
c = "R AND %s" % "STR"
print(b + c)
답 : REMEMBER AND STR
*풀이
a[0:3] => a[0]부터 a[3]전 까지 즉, REM
a[12:16] => a[12]부터 a[16]전 까지 즉, EMBE
경로 제어 프로토콜은 크게 자율 시스템 내부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① 와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② 로 구분할 수 있다.
① 는 소규모 동종 자율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RIP와 대규모 자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③ 로 나누어진다. ③ 는 링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하는 특징이 있다.
④ 는 ② 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라우팅 프로토콜로, 처음 연결될 때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한다.
<보기>
BGP AS HOP OSPF NAT ISP EGP IGP
답 :
① IGP
② EGP
③ OSPF
④ BGP
#include <stdio.h>
int main(){
int a[4] = {0, 2, 4, 8};
int b[3];
int* p;
int sum;
for ( int i = 1; i < 4; i++){
p = a + i;
b[i - 1] = *p - a[i - 1];
sum = sum + b[i - 1] + a[i];
}
printf("%d", sum);
}
답 : 22
*풀이
p는 포인터 변수이기에 for문을 돌때마다 p는 a + i인덱스의 따라 값이 정해짐
i | p | b[i] | sum |
1 | 2 | 2 | 4 |
2 | 4 | 2 | 10 |
3 | 8 | 4 | 22 |
class Test{
main(){
cond obj = new cond(3);
obj.a = 5;
int b = obj.func();
sout(obj.a + b);
}
}
class cond{
int a;
public cond(int a){
this.a = a;
}
public int func(){
int b = 1;
for (int i = 1; i < a; i++)
b += a * i;
return a + b;
}
}
답 : 61
*풀이
cond 객체에 파라미터 3으로 생성했지만
obj.a = 5로 값을 줬음으로 앞으로 cond의 a는 다 5임
func()는
i | b |
1 | 6 |
2 | 16 |
3 | 31 |
4 | 51 |
5 + 51 즉, b 는 56
출력 61
다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들어갈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R>
학생 | 학과 | 성적 | 학년 |
이순신 | 컴공 | A+ | 2 |
이순신 | 전공 | B | 2 |
유관순 | 경제 | B+ | 1 |
강감찬 | 한국사 | C+ | 3 |
홍길동 | 영문학 | B | 4 |
- 테이블 <R>에서 '성적'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에 대해 ( 1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테이블 <R>에서 '학년'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 중 '학생'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기본키에 대해 ( 2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임의의 테이블에 속성 A, B, C가 있을 때 A → B이고 B → C일 때 A → C인 관계는 ( 3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답:
(1) Full
(2) Partial
(3)Transitive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0) | 2024.04.23 |
---|---|
[정처기 실기] 오답 정리 23년 3회 (1) | 2024.04.18 |
[정처기 실기] 오답정리 23년 1회 (2) | 2024.04.12 |
[정처기 실기] 오답정리 (20년 2회) (1) | 2024.04.03 |
[정처기 실기] 오답정리 (20년 1회) (1)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