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tudy47 [Spring] @RequestBody, @RequestParam, @ModelAttribute 파헤치기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요청을 객체로 바인딩 하기 위해 제목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 각각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파헤쳐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RequestParam @RequestParam 은 1개의 HTTP 요청 파라미터를 받기 위해서 사용한다. 값의 여부는 무조건 true 여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 파라미터가 전송 돼야 하며, 만약 전송하지 않으면 400에러가 발생한다. 반드시 필요한 값이 아니라면 Required를 false로 설정하고, defaultValue 옵션을 사용하면 기본값을 저장할 수 있다. @RequsetBody @RequestBody 는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JSON형태의 HTTP Body를 Java 객체로 변환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RequestBody로 받는.. 2023. 9. 12. [Spring] Spring boot VS Spring Framework 필자는 학원 다닐 당시 Spring boot에 대해서만 배웠었다. 그래서 둘의 차이점이라고는 Spring 보다 boot가 편리하게 만들었다 정도만 알고있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둘의 차이점을 확실히 파헤치기로 한다. Spring Framework Spring은 Java 기반의 오픈소스 백엔드 프레임워크이다. 여러가지 특징이 있는데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DI란 개발자가 Spring framework에 의존성을 주입하면서 객체 간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 객체 간 결합이 느슨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증가하고 단위테스트가 용이하다. IoC(Invesion of Control) - 제어 역행 IoC는 컨트롤의 제어권이 프레임워크가 대신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Servlet이.. 2023. 9. 8.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 파헤치기 자바의 자료형은 기본 타입 기본 타입(Primitive type) 과 참조타입(Reference type) 으로 나누어 진다. 기본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저장하는 타입, 참조타입은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 객체의 위치를 참조하는 타입이다. 래퍼클래스 란 8개의 기본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객체로 표현하기위해 포장해주는 클래스라고 한다. 각각의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수로 전달받아 해당 값을 가지는 객체로 만들어준다. 래퍼 클래스는 모두 java.lang 패키지에 포함되어 제공된다. 특징 기본 타입은 값을 갖는 객체인 포장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래퍼 클래스는 각 타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파라미터로 전달받아 해당 값을 가지는 객체로 만들어 준다. 래퍼 클래스로 감싸고.. 2023. 9. 7.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 파헤치기 개발을 하다보면 세션과 쿠키를 알게되고 쓰게 되지만 막상 각각의 정의와 특징, 차이를 물어보면 제대로 말을 못하는 분들을 위해 이번 포스팅에 세션과 쿠키를 철저히 파헤쳐봅니다. 쿠키와 세션 왜 사용해야 하나요? HTTP 프로토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비연결성), Stateless(무상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 점을 보완하기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합니다. Connectionless(비연결성)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어 버리는 특징 HTTP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response를 보내고 접속을 끊는 특성이 있다. 헤더에 keep-ali.. 2023. 9. 6.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