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tudy47

[java] Stream (스트림) 파헤치기 Java 8에서 추가한 스트림(Stream)은 람다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그 이전에는 배열 또는 컬렉션 인스턴스를 다루는 방법은 for 또는 foreach문을 돌며 요소 하나씩 꺼내는 방법이었습니다. 스트림은 배열또는 컬렉션 인스턴스에 함수 여러 개를 조합해서 원하는 결과를 필터링하고 가공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즉, 배열과 컬렉션을 함수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1. 스트림 생성 List words = Arrays.asList("apple","banana","cherry","date","elderberry"); Stream wordStream = words.stream(); Stream numbersStream = Stream.of(1,2,3,4,5); 2. 중간 연산 .. 2023. 10. 11.
[ORM] MyBatis vs JPA 저번 포스팅때 Mybatis와 JPA를 사용해서 RESTful API만드는 시간을 갖었는데 각각의 이론과 둘의 차이점 각 장단점 등 비교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MyBatis 마이바티스(MyBatis)는 자바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의 하나로 XML 서술자나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사용하여 저장 프로시저나 SQL 문으로 객체들을 연결시킨다. 마이바티스는 아파치 라이선스 2.0으로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마이바티스는 IBATIS 3.0의 포크이며 IBATIS의 원 개발자들이 포함된 팀에 의해 유지보수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장점 접근이 쉽고 코드가 간결하다. SQL문과 코드가 분리되어 SQL 변경있을때마다 코드를 수정하거나 컴파일 하지않아도 된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 2023. 10. 10.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Spring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꼭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DI 즉,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DI(Dependency Injection)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의존성을 제공하는 테크닉이다. "의존성"은 예를 들어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 지정하는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무슨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말해주는 것이다. "주입"은 의존성(서비스)을 사용하려는 객체(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상태의 일부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구축하거나 찾는 것을 허용하는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이 패턴의 기본 요건이다. 의.. 2023. 10. 9.
WAS와 WS의 차이 파헤치기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WS(Web Server) 둘의 차이는 application 차이이다. ???? application 차이 말고도 여러 차이, 쓰임새도 다른데 조금 더 파헤쳐 보겠습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약자 WAS)는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1]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로 볼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이 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이 된다... 2023. 10. 7.
728x90
반응형
LIST